물결표 기호가 둥근 사각형 안에 위치해 있다. 사각형은 채우기 없이 비어 있으면서 점선 윤곽형을 가진다.

SNS의 반향실 효과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볼게요.

‘반향실 효과(echo chamber)’라는 용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캠브릿지 사전에 따르면 “소리가 울리는 방이나 공간”을 의미한다고 해요. 하지만 또 다른 정의로는 “사람들이 한 가지 유형의 의견만 듣거나, 자신의 의견과 유사한 의견만 듣는 상황”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흥미롭게도, 이 용어는 알고리즘이 자신의 기존 의견과 일치하는 내용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는 SNS를 설명할 때에도 자주 사용돼요. 마치 자신의 목소리가 울리는 반향실에 갖힌 것 처럼 말이죠. 그런데 과연 이게 좋은 걸까요, 아니면 나쁜 걸까요? 보고싶지 않은 내용을 걸러주니까 좋은 게 아닐까요?

SNS를 이용하고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자신과 맞는 내용에는 “좋아요”를 눌렀을 것이고, 반대로 자신과 맞지 않는 내용은 잘 확인하지 않았을 수도 있는데요. 이런 작은 동작들이 데이터가 되어 회사들이 알고리즘을 학습시킬 때 사용하게 되고, 결국 학습된 알고리즘은 비슷한 내용들을 더 많이 보여주게 돼요.

어떤 사람들은 이런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고 있을수도 있고,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어요. 그게 문제예요. 모두가 “IT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강한 편향이 발생할 수 있게 돼요. 사람들이 다양한 의견을 듣지 못하게 되고, 정치이든 다른 어떤 주제가 됐든, 결국 더 많은 갈등을 일으키게 되구요.

인터넷에 뜨거운 논쟁거리가 많이 있는데, 어떤 내용들은 정말 복잡하기도 해요. 하지만 이런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배워 본다면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것 같아요. 그래서 제 생각에는 모두가 이런 기술들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배워야 하는 것 같아요.

댓글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